불산 사망사고 한 달 만에…이번엔 일산화탄소, '죽음의 공장' 된 포스코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또다시 노동자들이 쓰러지는 참사가 발생했다. 20일 오후 1시 30분경, 포항제철소 STS제강 4공장 야외에서 슬러지 제거를 위해 진공청소차를 이용해 작업하던 외주업체 소속 노동자 3명이 유독가스를 흡입하고 쓰러졌다. 신고를 받고 긴급 출동한 사내 119 소속 구조대원들마저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던 중 가스를 흡입하는 2차 피해를 입었다. 결국 쓰러진 작업자 3명은 심정지 상태로, 구조대원 3명은 경상 증세를 보이며 병원으로 긴급 이송돼 총 6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외치던 구호가 무색하게, 현장은 순식간에 아비규환으로 변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병원으로 이송된 심정지 환자 3명 중 1명은 의식 불명 상태에 빠졌고, 1명은 여전히 심정지 상태, 나머지 1명은 다행히 회복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평범한 청소 작업이 끔찍한 인명 사고로 이어진 것이다. 소방당국과 경찰은 사고 원인을 일산화탄소(CO) 또는 코크스로 가스(COG) 등 유독가스의 누출이나, 배관 등에 남아있던 가스가 환기 미흡으로 빠져나가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특히 작업 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작업환경 내 유해가스 농도 측정이나 기본적인 안전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었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이번 사고는 단순한 안전 부주의를 넘어 포스코의 고질적인 안전불감증이 위험 수위를 넘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다. 불과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지난 5일, 바로 이 포항제철소의 다른 공장에서는 화학물질 배관 파손으로 불산으로 추정되는 가스가 누출되어 하도급업체 근로자 1명이 목숨을 잃고 2명이 다치는 끔찍한 사고가 있었다. 당시 노동자들은 전기 케이블 설치를 위해 이동하던 중 낡은 배관을 밟았다가 변을 당했다. 한 달 간격으로 같은 사업장에서 유사한 가스 관련 중대재해가 반복된 것은 ‘예고된 인재’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만든다.

 

결국 위험한 작업은 하청에 떠넘기고, 원청인 포스코는 안전 관리를 소홀히 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또다시 최악의 결과로 이어진 셈이다. 한 달 전의 죽음에서 아무런 교훈도 얻지 못한 채 똑같은 비극이 되풀이되면서 포스코는 ‘죽음의 공장’이라는 오명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경찰은 현장 관계자들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와 함께 안전 수칙 준수 여부 등 업무상 과실치상 혐의를 철저히 수사해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이다. 잇따른 참사 앞에 포스코의 안전 경영 시스템은 완전히 붕괴했다는 비판이 거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