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은 도망치고 트럼프는 배신했다... 우크라 전쟁 종결 '황금 기회' 날아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전쟁 발발 3년여 만인 15일(현지시간) 이스탄불에서 평화협상을 재개한다. 양국 정상 간 직접 대화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모두 불참을 결정하면서 기대했던 3국 정상회담은 무산됐다.

 

러시아 크렘린궁은 14일 푸틴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메딘스키 보좌관을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을 이스탄불 협상에 파견한다고 발표했다. 메딘스키는 2022년 러·우 협상에서도 대표단을 이끌었던 인물이다. 푸틴 대통령은 명단에서 빠졌는데, 이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정상 간 직접 대면 제안을 사실상 거부한 것으로 해석된다. 영국 가디언은 "푸틴이 압박받는 것을 싫어하고, 젤렌스키와 한자리에 앉는 것을 꺼린다"고 분석했다.

 

중동 순방 중이던 트럼프 대통령 역시 푸틴 대통령의 불참 소식이 전해진 직후 튀르키예 방문 계획을 취소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푸틴 대통령 참석 시 자신도 협상에 참여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3국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 바 있다.

 

이번 평화협상은 정상들의 불참에도 불구하고 2022년 6월 이후 양측이 처음으로 공식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약 3년 3개월 만의 대화다.

 

그러나 양측의 입장 차가 워낙 커 첫 회담에서 실질적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가장 큰 쟁점은 영토 문제로, 러시아는 크림반도와 전쟁 중 점령한 4개 지역(루한스크·자포리자·도네츠크·헤르손)을 자국 영토로 인정받길 원하고 있다. 반면 우크라이나는 영토 양도는 절대 불가하다는 입장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된 국경 회복을 주장하고 있다.

 


안보 문제도 중요한 갈등 요소다. 우크라이나는 나토 가입 대신 미국 중심의 안전 보장을 요구하고 있으나, 러시아는 외국 군대 주둔을 나토 개입으로 간주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중립화와 서방의 대러 제재 해제를 요구하는 반면, 우크라이나와 유럽은 단계적이고 조건부적인 제재 완화를 주장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협상이 미국과 유럽의 종전 압박 속에서 실제 대러 제재를 피하기 위한 푸틴 대통령의 시간 끌기 전략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푸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경고성 발언이 나올 때마다 부활절 30시간 휴전, 전승절 72시간 휴전 등을 일방적으로 선언했지만, 실질적인 휴전은 지켜지지 않았다.

 

우크라이나와의 회담을 제안한 지난 11일에도 푸틴 대통령은 "새로운 휴전, 진정한 휴전에 합의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면서도 서방이 제안한 30일 휴전안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이번 회담을 2022년 이스탄불 회담의 '재개'라고 강조하며, 앞선 대화가 실패로 돌아간 원인은 우크라이나와 서방에 있다고 여러 차례 비난했다.

 

평화협상을 하루 앞두고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의 이스탄불행을 강하게 촉구했다. 그는 푸틴 대통령 참석 시 언제든 이스탄불로 이동할 준비가 돼 있다며 "푸틴이 오지 않고 시간만 끄는 것은 전쟁을 끝낼 의지가 없다는 걸 의미한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다면 당연히 튀르키예에 갈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지만, 결국 두 정상의 불참으로 이번 협상의 성과는 더욱 불투명해졌다.